Spring Boot

[Spring Boot] 스프링 부트 매번 해야하는 설정 및 정적 리소스 실습

웹코린이 2023. 9. 14. 14:13
728x90

 

스프링 부트를 사용할 때 매번 해줘야 하는 설정

 

application.properties

server.port=8088

spring.mvc.view.prefix=/WEB-INF/views/
spring.mvc.view.suffix=.jsp

포트번호를 8088로 변경하고, view를 웹 브라우저로 설정하기 위한 ViewResolver를 jsp로 설정한다

또한, 꼭 보여줘야 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URL로 접근을 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/WEB-INF/views 디렉토리에 JSP 폴더 경로를 생성해야 한다

 

 

 

build.gradle

plugins {
	id 'java'
	id 'war'
	id 'org.springframework.boot' version '3.1.3'
	id 'io.spring.dependency-management' version '1.1.3'
}

group = 'com.ryu'
version = '0.0.1-SNAPSHOT'

java {
	sourceCompatibility = '17'
}

configurations {
	compileOnly {
		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
	}
}

repositories {
	mavenCentral()
}

dependencies {
	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web'
	compileOnly 'org.projectlombok:lombok'
	annotationProcessor 'org.projectlombok:lombok'
	providedRuntime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tomcat'
	test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test'
	implementation 'org.apache.tomcat.embed:tomcat-embed-jasper'
    implementation group: 'org.glassfish.web', name: 'jakarta.servlet.jsp.jstl', version: '2.0.0'
}

tasks.named('test') {
	useJUnitPlatform()
}

JSP를 컴파일 해줄 수 있는 라이브러리(implentation)과 JSTL 관련 라이브러리(implementation group)을 추가해야 한다

 

 

 

또한, 적용 시키기 위해 꼭 Refresh Gradle project를 해줘야한다 (build.gradle 우클릭 > Gradle > Refresh Gradle Project)

 

 

 

정적 리소스 사용 방법

 

> 아래와 같이 폴더 및 파일 생성, 이미지 파일 images 하위에 삽입

 

 

 

test01.html (file로 생성)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테스트 01 페이지</title>
</head>
<body>
	<h1>테스트 01 페이지</h1>
</body>
</html>

 

 

 

test02.html(file로 생성)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테스트 02 페이지</title>
</head>
<body>
	<img alt="티모 이미지" src="/images/timo.png" />
</body>
</html>

 

 

 

 

코드 시연

 

 

> URL : localhost:8088/test01.html 로 이동시 해당 텍스트 출력

 

 

 

> URL: localhost:8088/kiwi/test02.html 로 이동시 해당 이미지 출력

 

 

 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