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ute Black Pencil

JAVA

객체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(OOP : Object - Oriented Programming)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, 객체를 중심으로 프로그램 구조를 설계하고 프로그래밍 하는 것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. 객체란, 우리 실생활에 존재하는 모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. Ex) 컴퓨터, 연필, 책 등등 (눈에 보이는 물체들) 또한 객체는 일반적으로 상태를 표현할 수 있고 우리가 행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말한다. 클래스란 ?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제작 설명서이다. 쉽게 말해서 어떤 물건을 만들기 위한 '틀'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. 따라서 우리는 클래스를 기반으로 객체를 생성한다. 하나의 설명서로 여러 개의 물건을 만들 수 있듯이, JAVA에서는 하나의 클래스로 여러 개의 객체를..
1. 다음 중 배열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무엇일까요 ? int[] arr = new int[4]; int arr[] = new int[4]; int arr[] = {1, 2, 3, 5}; int[][] arr = new int [][4]; 더보기 보기 2) 배열 선언 시 대괄호는 자료형 옆에 붙혀주어야 하므로 변수명 옆에 붙힌 2번은 틀림. 2. 다음 코드의 빈칸을 완성해 주어진 배열에서 짝수만 더하여 합을 구해보세요. package section06; public class ArrayExample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[] arr = {1, 2, 3, 4, 5, 6, 7, 8, 9, 10}; int sum = 0; for(int i ..
1. 다음 빈칸에 알맞는 단어를 작성해 보세요. 반복문은 □□□□□□□한 동작을 여러 번 반복하여 실행하는 구문입니다. 더보기 반복문은 프로그램 코드 내에서 똑같은 명령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문입니다. 2. 반복문의 종류를 모두 나열해 보세요. 더보기 반복문의 개수 : 3개 for문 , while문, do-while문 3. 1부터 100까지의 정수 중에서 짝수만을 더해 출력하는 코드를 for문을 사용해 작성해 보세요. package class06; public class Test0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result = 0; // 짝수를 더해 저장해주는 역할을 하는 변수 for (int i = 1; i
배열이란 ? 쉽게 말해 저장공간을 나열해놓은 것을 의미한다. 여러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구조를 자료 구조(data structure)라고도 한다. 배열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변수를 여러 개 선언하면 이름도 여러 개 생기는데 이 때 저장 공간을 관리하기가 불편하다. 따라서 n칸 배열을 한 번만 선언하면 저장공간도 n개 생기고, 이름도 한 개이기 때문에 관리하기 편하다. 배열은 규칙성이 없는 값에 규칙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한다. ★★★ 배열의 선언 방법 자료형[] 배열명 = {값1, 값2, ...}; --> 어떤 값을 넣을 지 알 때 사용한다. 자료형[] 배열명 = new 자료형[칸수]; --> 어떤 값을 넣을 지 모르지만, 몇 칸을 만들지 알 때 사용한다. 자료형[] 배열명 = null; --> 어떤 ..
웹코린이
'JAVA' 카테고리의 글 목록 (7 Page)